Janis Joplin - Golden Best 14



Janis Joplin - Move Over

You say that it's over now
But still you hang around me
Come on, won't you move over

You know that I need a man
But when I ask you
To you just tell me that maybe you can

No! please dontcha do it to me baby,
Either take this love I offer or
honey let me be
I ain't quite a ready for walking
No no no no,
I ain't quite a ready for walking
And whatcha gonna do with your life
Life all just dangling?

Oh yeah, make up your mind, honey
You're playing with me, hey hey hey
Make up your mind, darling
You're playing with me, come on now!
Now either be my loving man
I said-a let me honey, let me be, yeah!

하지만 넌 여전히 내 주위에 매달려 있어
그만 딴 데 알아보지 그래?

하지만 네게 나와 사귀는 거
어떠냐고 물으면
넌 어쩌면 그럴 수도 있다고만 말해

제발 좀 그래 줄래? 제발 좀 그래줘
내가 제안하는 이 사랑을 받던가
아니면 날 내버려 둬
난 떠날 준비가 되지 않았어






Move Over :

재니스 조플린(Janis Joplin)이 작곡하고 부른 노래로, 1971년 발매된 그녀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 [Pearl]에 수록되었다. 이 앨범은 조플린의 사망 후 발매되어 그녀의 유작이 되었다.

'Move Over'는 강렬한 블루스 록 스타일로, 조플린 특유의 거친 보컬과 파워풀한 감정 표현이 돋보인다.
가사는 사랑에 대한 실망과 분노를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연인에 대한 좌절감을 노래한다.

'Move Over'의 가사는 여성의 독립성과 자존감을 강조한다.
노래 속 화자는 더 이상 부당한 대우를 참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상대방에게 물러날 것을 요구한다.
이는 1960년대 말, 1970년대 초의 여성 해방 운동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음악적으로 이 곡은 강렬한 기타 리프와 역동적인 리듬 섹션이 특징이다.
조플린의 보컬은 곡의 감정을 극대화하며, 그녀의 블루스 영향이 잘 드러난다.

이 곡은 발매 이후 많은 아티스트들에 의해 커버되었으며, 록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제니스 조플린의 유산을 대표하는 곡 중 하나로 여겨지며, 그녀의 음악적 영향력을 잘 보여주는 예시이다.


Janis Lyn Joplin :

미국의 여성 블루스, 사이키델릭 록 싱어송라이터다.

1960년대 말 히피 문화를 대표한 인물들 중 하나로, 대중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여성 블루스, 록 보컬리스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빅 브라더 앤드 홀딩 컴퍼니에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고 이후 자신의 밴드를 조직하여 활동했다.

거침없는 음악 스타일과 '여가수'라는 관습적 제약에서 벗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