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여섯시
어느 동쪽에나 그만한 태양은 솟는 법인데
성산포에서만 해가 솟는다고 부산피운다
태양은 수만개
유독 성산포에서만
해가 솟는 것으로 착각 하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
나와서 해를 보라
하나밖에 없다고 착각해온 해를 보라
성산포에서는 푸른색 외에는 손을 대지 않는다
설사 색맹일지라도 바다를 빨갛게 칠할 순 없다
성산포에서는 바람이 심한날
제비처럼 사투리로 말을 한다
그러다가 해가 뜨는 아침이면
말보다 더 쉬운 감탄사를 쓴다
손을대면 화끈 달아오르는 감탄사를 쓴다
성산포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여자가 남자보다 바다에 가깝다
술을 마실때에도 바다에 가서 마신다
나는 내말을 하고
바다는 제말을 하고
술은 내가 마시는데
취하기는 바다가 취한다
성산포에서는 바다가 술에 더 약하다
맨 먼저 나는 수평선에 눈을 베었다
그리고 워럭 달려드는 파도소리에 귀를 찢기웠다
그래도 할 말이 있느냐고 묻는다
그저 바다만의 세상 하면서 당하고 있었다
내 눈이 그렇게 유쾌하게 베인 적은 없었다
내귀가 그렇게 유쾌하게 찢어진 적은 없었다
모두 막혀 버렸구나
산은 물이라 막고 물은 산이라 막고
보고 싶은 것이 보이지 않을 때에는
차라리 눈을 감자
눈감으면 보일꺼다
떠나간 사람이 와 있는것 처럼 보일꺼다
알몸으로도 세월에 타지않는 바다처럼 보일꺼다
밤으로도 지울 수 없는 그림자로 태어나
바다로도 닳지 않는 진주로 살꺼다
일출봉에 올라 해를 본다 아무생각 없이 해를 본다
해도그렇게 나를 보다가 바다에 눕는다
일출봉에서 해를 보고나니 달이 오른다
달도 그렇게 날 보더니 바다에 눕는다
해도 달도 바다에 눕고나니 밤이된다
하는 수 없이 나도 바다에 누어서 밤이 되어 버린다
성산포에서는 설교는 바다가 하고
목사는 바다를 듣는다
기도 보다도 더 잔잔한 바다
꽃보다 더 섬세한 바다
성산포에서는
사람보다 바다가 더 잘 산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은 절망을 만들고
바다는 절망을 삼킨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이 절망을 노래하고
바다가 그 절망을 듣는다
가장 살기 좋은 곳은
가장 죽기도 좋은 곳
성산포에서는
생과 사가 손을 놓지 않아
서로 떨어질 수 없다
나는 떼어놓을 수 없는 고독과 함께
배에서 내리자마자 방파제에 앉아 술을 마셨다
해삼 한 토막에 소주 두 잔
이 죽일놈의 고독은
취하지 않고
나만 등대밑에서
코를 골았다
저 섬에서 한달만 살자
저 섬에서 한달만 뜬 눈으로 살자
저 섬에서 한달만
그리움이 없어질 때까지 뜬눈으로 살자
바다에서 돌아오면
가질 것이 무엇인가
바다에선 내가 부자였는데
바다에서 돌아오면
가질 것이 무엇인가
바다에선 내가 가질것이
없었는데
날아가는 갈매기도
가진 것이 없었고
나도 바다에서
가진 것이 없었는데
바다에서 돌아가면
가질 것이 무엇인가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성산포에 관한 총81개의 각각의 시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시가 전부 모여 한편의 시가 되는 형식이다.
이생진(1929 생) 충남 서산 출생. 국제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교육대학원 언어학과에서 수학했다. 『분수』 동인으로 활동했다.
1969년 『현대문학』에 시 「제단」 등으로 김현승의 추천을 받아 문단에 등단한 이래 감각적이며 시각적인 이미지를 토대로 하여 현대 생활을 밝고 맑게 그리고 있다. 그의 시는 직접 발로 뛰며 시적 대상을 찾아다닌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특히 섬에 관한 시는 걸어 다닐 힘이 있는 한 계속된다고 할 정도로 강한 집착을 보인다.